튀르키예 동남부와 시리아에 6일(현지시간) 오전 4시17분쯤(현지시간) 7.8 규모 지진이 발생했다고 미 지질조사국이 밝혔습니다.
진앙은 북위 37.20도, 동경 36.99도이며, 지진 발생 깊이는 약 24㎞이다. 미 지질 조사국에 따르면, 첫 번째 지진 발생 15분 후 6.7 규모의 여진이 이어졌습니다. 이번 지진은 인근 레바논과 시리아, 사이프러스 등에서도 감지됐다고 AFP통신은 전했습니다.
특히 지진의 가장 큰 영향을 받은 튀르키예 남부는 쿠르드족 거주 지역이고, 시리아 북부는 반군 장악지역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중 튀르키예의 가지안테프 지역은 핵심 산업 시설이 몰려 있는 곳으로, 제조업의 허브로 꼽히는 지역입니다.
튀르키예 국영 아나돌루통신은 이날 “사힌베이 중심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가지안테프 성의 동쪽, 남쪽, 남동쪽의 보루 일부가 지진으로 파괴됐다”며 “일부 보루에서는 큰 균열이 확인됐고, 성 옆의 옹벽도 무너졌다”고무너졌다”라고 보도했다. 이어 “보루가 무너진 잔해가 길 위에 그대로 흩어져 있다”며 “성 주위의 철책 또한 무너졌다”라고 전했습니다.
영국 스카이뉴스가 공개한 영상을 보면, 샨리우르파의 7층짜리 건물이 폭삭 무너졌고 건물이 내려앉으면서 길 앞에 설치된 전선탑까지 함께 쓰러졌습니다. 주변을 지나던 차량과 사람들은 놀라 건물 반대쪽으로 이동해 몸을 피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도로가 손상되고 인터넷 연결 상태가 불량해 피해 정도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고 했습니다. 이어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AFAD)에 따르면 현재까지 사망자는 2316명, 부상자는 1만 3000명 이상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시리아에서는 최소 1444명이 사망하고 약 3500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라고 전했습니다.
자연재해로 인해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을 했네요. 하루빨리 지진이 멈추고 여러 나라로부터 도움을 받아 지진의 재해로부터 복구가 이루어 지기를 바랍니다.
지진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
지진은 지각의 큰 조각인 지각판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판은 갑자기 움직여 지진파로 알려진 진동을 지구 표면에 퍼뜨릴 수 있습니다. 이 지진파로 인해 땅이 흔들리고 이것이 우리가 지진으로 느끼는 것입니다. 지진은 지하 핵 실험, 지하 채굴, 대형 댐 건설과 같은 인간 활동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진의 강도는 어떻게 표현되나?
지진의 크기는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지진파의 강도를 측정한 것입니다. 지진의 크기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것으로 다양한 지진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지진 규모를 측정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척도는 리히터 규모로 지진의 규모를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10 로그 스케일. 리히터 규모가 1 단위 증가하면 지진 규모가 10배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규모 6의 지진은 규모 5의 지진보다 10배, 규모 4의 지진보다 100배 더 강합니다.
지진 발생 시 해야 할 행동은?
- 땅에 엎드려 아래로 몸을 숨깁니다.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 실내에 있으면 그대로 있고 밖으로 뛰지 않고 높은 건물에 있는 경우 창문을 피하고 책상이나 탁자 밑으로 몸을 숨깁니다.
- 구조물이 파손된 건물에 있는 경우 즉시 대피해야 하고,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지 말고 계단을 이용하십시오.
- 전선, 가스관 및 건물, 다리 또는 육교와 같이 떨어질 수 있는 모든 것에서 멀리 떨어져야 합니다.
- 흔들림이 멈춘 후 본인 및 타인의 부상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응급처치를 해야 합니다.
- 뉴스를 듣고 정부의 지침을 따라야 합니다.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디 개인정보 유출 논란? 개인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꿀팁!! (10) | 2023.02.14 |
---|---|
프로포폴, 대마 논란 유아인! 프로포폴은 왜 위험한가? 부작용 무엇 (9) | 2023.02.13 |
겨울 스포츠의 천국! 캐나다 휘슬러(Whistler) , 시투스카이(Sea to Sky) (6) | 2023.02.06 |
인도 제약사 인공눈물 넣었다가..사망, 실명! 국내에선 허가 안됨 (4) | 2023.02.06 |
미국 영토 침투한 중국 정찰 풍선 격추! 스텔스 전투기 (3) | 2023.02.05 |
댓글